갤럭시와 아이폰 중 내 폰도 eSIM이 될까?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이 글에서는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eSIM을 지원하는 기종과 확인 방법, 그리고 모델별 특징까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e심 기종 확인
eSIM(임베디드 SIM)은 물리적인 유심 칩 없이도 스마트폰에 내장된 전자 칩을 통해 통신사를 등록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특히 해외 여행자, 듀얼 심 사용자, 잦은 통신사 변경 사용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기능이죠.
그렇다면 내가 가진 스마트폰이 eSIM을 지원하는 기종인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eSIM 기종 확인 방법
- 설정 메뉴에서 확인하기
- iOS: 설정 → 셀룰러 → 셀룰러 요금제 추가 메뉴 확인
- Android(갤럭시): 설정 → 연결 → SIM 카드 관리자 → eSIM 추가 항목 존재 여부 확인
- 기기 모델명으로 확인하기
- ‘설정 > 휴대전화 정보’ 또는 배터리 뒷면(일부 모델)에 표기된 모델명 확인 후 검색
- 예시: “SM-G973N eSIM 지원 여부”
- IMEI 번호로 확인
- 다이얼에서 *#06# 입력 → eSIM 항목 존재 여부 확인
실제 사용 예시
저는 출장용으로 갤럭시 S23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본, 미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통신 요금제 등록을 위해 eSIM을 활용하는데, 물리 유심 교체 없이 앱에서 설정만으로 바로 개통할 수 있어 정말 편리합니다.
또한, 가족용 아이폰 14에서는 KT의 데이터 쉐어링 요금제를 eSIM으로 추가 등록하여 별도 유심 없이도 아이폰 하나로 업무와 개인 용도를 분리해 쓰고 있습니다.
확인 시 주의사항
- 자급제 모델과 통신사 모델은 지원 여부가 다를 수 있습니다.
- 펌웨어 업데이트 여부에 따라 eSIM 기능이 숨겨져 있을 수도 있습니다.
갤럭시 e심 기종
삼성 갤럭시는 비교적 최근 모델부터 eSIM을 본격적으로 탑재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플래그십 라인업인 S 시리즈와 Z 시리즈가 중심입니다.
갤럭시 eSIM 가능 기종 리스트 (2025년 기준)
시리즈 | 모델명 | 비고 |
---|---|---|
S 시리즈 | S20, S21, S22, S23, S24 | S20은 해외판만 가능 |
Z 시리즈 | Z Fold2, Fold3, Fold4, Fold5 / Z Flip3, Flip4, Flip5 | 국내 정식 출시 제품만 |
A 시리즈 | 일부 고급형 모델 (예: A54, A73) | 한정 모델만 eSIM 탑재 |
직접 써본 후기
갤럭시 Z Flip5를 사용하면서 해외 eSIM 요금제(일본 eSIM 라쿠텐)를 등록해봤습니다. 현지 도착 즉시 설정 몇 번으로 개통이 완료되어 통신비도 절감하고 편의성도 크게 올라갔죠.
반면, A 시리즈 중에서도 A52나 A33 같은 중저가 라인업은 아직 대부분 eSIM을 지원하지 않아 구매 전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eSIM 설정 방법 (갤럭시 기준)
- ‘설정 → 연결 → SIM 카드 관리자’로 진입
- ‘모바일 요금제 추가 → QR 코드 스캔 또는 수동 입력’ 선택
- 통신사에서 제공한 정보 입력 후 활성화
참고사항
- 듀얼 유심을 사용할 경우, eSIM은 보조 유심으로만 작동 가능 (일부 모델 기준)
- eSIM은 통신사별로 지원 정책이 다르므로 사전 확인이 필수
아이폰 e심 기종
애플은 상대적으로 일찍부터 eSIM을 도입해 왔으며, iPhone XS부터 본격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최신 모델일수록 eSIM 기능이 더 강화되어 있습니다.
아이폰 eSIM 지원 모델
모델 | eSIM 지원 여부 | 특징 |
---|---|---|
iPhone XS, XS Max | O | 최초의 eSIM 지원 모델 |
iPhone 11 시리즈 | O | 듀얼 SIM 가능 (유심+eSIM) |
iPhone 12 ~ 14 시리즈 | O | 대부분 eSIM 가능 |
iPhone 15 시리즈 | O | 일부 국가는 eSIM 전용 모델 출시 |
※ 미국판 아이폰 14, 15는 물리 유심 슬롯이 아예 없습니다.
eSIM으로 기기 변경 시 유의사항
- iOS 16 이상에서는 ‘이전 아이폰에서 eSIM 전송’ 기능으로 빠르게 기기 변경 가능
- 통신사 앱에서 ‘eSIM 재발급’ 기능 제공
- 분실/도난 시 원격으로 요금제 비활성화 가능
직접 경험담
저는 아이폰 13 프로를 사용 중인데, 업무용과 개인용 요금제를 각각 eSIM과 물리 유심으로 등록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평일과 주말을 구분해 전화 수신을 설정하거나, 출장 시 eSIM만 교체해 로밍 없이 사용하는 식이죠.
특히 일본 여행에서는 eSIM Japan, Ubigi 같은 eSIM 전용 앱에서 요금제를 구매해 QR코드만 찍고 바로 개통되니, 유심 교체 번거로움도 전혀 없었습니다.
아이폰의 eSIM 설정 방법
- ‘설정 → 셀룰러 → 셀룰러 요금제 추가’
- QR 코드 스캔 또는 정보 직접 입력
- 요금제 활성화 후 기본/보조 회선 설정
결론
eSIM은 이제 스마트폰 사용 방식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습니다. 단말기 변경 없이 요금제 변경 가능, 여행 시에도 간편한 로밍, 업무/개인 회선 분리 등 다양한 장점이 있죠. 하지만 기종에 따라 지원 여부가 다르기 때문에 미리 확인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술은 사람을 자유롭게 한다”는 말처럼, 스마트폰의 eSIM 기능도 여러분의 일상에 더 많은 자유를 가져다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 여러분의 기기가 그 자유를 품고 있을지도 모르니까요.